티스토리 뷰

러시아 입장에서의 짧은 침공이라고 생각했던 우크라이나 전쟁은 이제 장기전 양상을 보이면서 러시아의 입장이 조급 해지는 상황이다. 만약 이 침공에 따른 전쟁이 3차세계대전으로 이어진다고 가정했을 때 러시아는 과연 3차 세계대전까지 염두에 두고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것일까? 만약 세계의 전쟁이 발발한다면 예측 시나리오 상에서 한국의 참전이 예상된다고 한다. 그렇다면 한국군 대한민국 군사력과 순위는 어떻게 될까?

 

세계군사력순위-TO30-1위에서-30위까지-글로벌파이어파워-GlobalFirepower-GFP
3차세계대전이 발생한다면 한국의 참전 가능성과 2022년 군사력 순위 TOP 30

 

세계 3차 대전 가능성에 대해 전쟁 전문가들은 새로운 냉전과 전쟁의 발발이 '이미 모두 준비된 상황'이라면서 추상적으로 말을 하고있다. 모든 전쟁에서 미국이 참전을 하지 않는다면 미국은 엄청난 돈을 벌어가는 구조이다. 미국의 군산복합체는 전쟁 물자를 미국 정부와 동맹국에 판매하면서 국민의 세금으로 막대한 이익을 얻고 있으며, 이런 상황에서 미국이 전쟁에 참전을 하지 않으면 미국이 유일하게 가장 거대한 패권 국가가 자동적으로 된다.

 

유럽 대륙은 이미 2번의 세계 전쟁(세계 대전)을 거치면서 전쟁 이후의 전쟁 채권과 복구지원 때문에 미국에 지속적으로 종속되어 국가간 운영이 되어왔고, 지금도 여전하다.

 

그래서 일각에서는 우크라이나 전쟁이 세계3차 대전으로 비화될 국제 정세가 이미 큰 그림이 완성되었다고 말한다. 거대한 새로운 자금적 흐름을 발견한 미국이 여러 가지 이유로 굳이 이런 상황에 뛰어들어서 해결할 근본적인 이유가 없다는 것이며, 무엇보다 미국과 동맹국이 러시아의 국경인 우크라이나에 미국의 핵미사일을 배치하려고 우크라이나의 나토 가입을 유도한 것이고 지금의 전쟁 국면을 가지는 것에 가장 큰 기여를 했다는 분석들이 지배적인 것이다.

 

조금의 세계 역사를 알고 있는 사람이라면 이런 우크라이나의 러시아 침공에 따른 전쟁상황은 비슷한 사례가 있는 것을 다 알고 있을 것이다. 미국과 전쟁을 했던 쿠바 또한 소련을 끌어들이려고 했었다. 시간이 많이 흘러 세계 주요 G7과 같은 큰 나라들의 거대한 싸움에 휘말려 자국의 안위를 걱정하고 있는 것은 과거에서나 지금의 현재 또한 여전하다.

 

 

결국 세게3차대전의 핵심 포인트는
직감적으로 과거의 패권국가이며
지금의 패권국가인
미국이 손에 쥐고 있는 것이다.

 

 

영원 불멸할 것 같은 패권 국가인 미국은 자신들에게 도전하는 러시아, 중국, 북한과 같은 국가들은 붕괴시키고, 우크라이나를 나토에 가입시키려는 미국의 판단이 제3차세계 대전의 파국으로 이어질지는 계속 세계적 정세 흐름을 확인해보고 분석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렇다면 오늘 글에서 가장 중요한 현실적인 내용으로 이런 글로벌한 국제 정세 속의 전쟁의 씨앗이 꿈틀거리는 시점에 한국은 위험을 무릅쓰고 개입하게 될까?

 

 

 

 

3차세계대전 발생이 한다면 한국 군대 대한민국(한국)의 전투력 순위 및 상세 내용

 

한국은 아직 전쟁의 불길의 씨앗이 남아있는 전쟁이 언제든지 가능한 국가이다. 2022년 올해 북한은 이미 2021년 전체 횟수보다 많은 미사일 발사를 감행하고 있는 상황이다.

 

북한은 극초음속 미사일 시험에도 성공했다고 주장하면서 또 다른 핵실험 재개도 시사하고 있는 상황으로 한반도의 전쟁에 대한 긴장감은 계속 증가되고 있다. 그러나 2021년 말 북한이 한국, 미국, 중국과 함께 한국 전쟁을 공식적으로 종식하는 데 동의했다는 보도가 있었다. 다만 이런 상황 속에서 현재 미국 행정부의 어느 누구도 북한과 한국에 집중할 여력이 없다는 것이 안타까운 실정이다.

 

2022년 2월 미국의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은 대북 전략 협의를 위해 하와이에서 한국과 일본 외교 장관 회의를 주재했으나 별다른 성과는 나오지 않았다. 종전 선언을 관여해야 하는 타국의 입장이 좁혀지지 않은 가운데 한반도의 전쟁에 대한 긴장감은 점점 커져나가고 있다. 그래서 전쟁으로 국내에 미칠 러시아의 실질적인 물리적 위협보다는 경제 및 사회적인 위기와 유럽 아래턱 밑까지 다가온 전쟁에 대한 사람들의 위협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정리를 하면 국내에 직접적인 위협으로 한국의 참전의 가능성과 기타 유사한 상황이 발생하는 것보다 미국의 움직임으로 인한 러시아의 동태 변화 유럽 등 세계정세 흐름의 변화로 새로운 위협의 가능성이 발생할 수가 있는 것이다.

 

2022.03.07 - [이슈] - 이근 대위 ROKSEAL팀 - 우크라이나 한국 의용군으로 참전 소식

 

실제로 국제 의용군이 증가하는 등 시간이 흘러갈수록 전쟁이 국제전으로 번지는 모양이 보이고 있다. 한국 또한 rokseal의 이근 전 대위가 출국을 감행하는 이슈가 발생했다. 국내에도 세계 전쟁으로 번지는 우리도 피해 갈 수가 없는 것이 아닌가?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하지만 한국의 세계 전쟁에 개입이 되려면 북한의 움직임이 발생하는 그와 유사한 직접적인 위협이 발생해야 한다. 만약 북한이 개입하는 국제 정세가 펼쳐진다면 세계 3차대전으로 치명적인 재앙적인 세계전쟁이 된다.

 

한국 VS 북한 또는 한국 VS 중국과 같은 대립은 발생 가능한 구체적인 시나리오가 있을 수도 있으나 대한민국은 국가적 파괴를 감수하면서까지 러시아의 공격에 대응하면서 얻을 수 있는 실제 이익이 전해 없는 것 같다. 다만 우크라이나의 나토 가입과 이에 대한 미국의 행보에 따라 세계정세는 예측된 것에 반대로 진행될 수 있다는 것은 유념해야 한다.

 

만약에.. 만약에... 최악의 상황을 가정하고 세계 3차 대전이 발생되었다고 시뮬레이션을 한다면 세계 각국의 군사력은 어떠할까?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본격적으로 윤곽이 드러나자 각종 조사 기관들은 국방에 관련된 정보를 추적 분석해서 이들 나라의 군사력을 비교하기 시작했다. 러시아 푸틴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동부 돈바스 지역의 천러 반군을 공식 승인함에 따라 이루어진 일이었다.

 

글로벌 파이어파워에서는 우크라이나가 세계 22위, 러시아는 전 세계 2위의 군사력을 보유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만약 한국이 독단적으로 자력으로 러시아와 맞짱을 뜨게 되면 어떤 시나리오의 결과가 나올까?

 

결과적으로 글로벌 파이어파워 조사에 따르면 2021년을 기준으로 대한민국의 군사력은 세계 6위에 랭크되어 있다.

 

러시아군은 2010년대 이전까지만 해도 구형 전차 전력을 보유하면서 한국의 K-9A1, K1A2, K-2 등의 기갑 전력보다 질적으로 낮은 전력을 보유하고 있었다.

 

육군 포병 전력은 한국이 더 우세하다. 공군의 경우 야전 방공망과 지대공 미사일 등이 포함되기 시작하면 유효성이 떨어진다고 분석하고 있다. 그리고 한국 해군은 별다른 전력 증강이 이루어지지 않다가 2010년에 강습상륙함, 이지스함과 같은 함선을 배치하면서 해군 군사력을 키우기 시작했다.

 

만약 지금의 현실에서 한국과 러시아 양국 간에 총력전으로 전쟁을 치르게 된다면 한국군이 단독으로 러시아군을 총력으로 막아내는 것은 힘들 것이라는 의견이 많았고, 러시아가 단순 재래식 전쟁에서 벗어나서 핵무기와 같은 다량 살상 무기를 1번이라도 사용하면 한국은 즉시 박대한 피해를 입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한국 VS 북한, 한국 VS 중국 전쟁과 다르게 러시아 VS 한국의 전면전은 국제 정세상 구체적인 시나리오가 있는 것보다는 해석들이 대부분 양국의 군사적 약량을 단순하게 비교하기 때문에 그냥 흥미로운 소설들을 쓰고 있다고 봐야 한다.

 

마지막으로 글로벌 파이어파워(GFP)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보고 GFP의 TOP 30. 즉 세계 30위까지의 국가들의 랭크를 살펴보도록 하자.

 

 

글로벌 파이어파워 (Global Firepower - GFP) 전 세계 국가 군사력 TOP 30

 

글로벌 파이어파워(Glovbal Firepower - GFP)는 전 세계 국가들의 군사력을 조사하는 2006년 세워진 비정부 기구인데, 2021년에는 미국이 1위에 랭크되고, 대한민국은 6위, 북한은 28위 등에 랭크되어 있다. 아래의 표는 GFP의 2022년을 기준으로 하는 세계 각국의 군사력 순위 TOP 30이다.

 

순위 국가 지수 육군 해군 공군 병사 수
1 미국 0.0453 6612 484 13247 1832000
2 러시아 0.0501 12420 605 4173 1350000
3 중국 0.0511 5250 777 3285 3134000
4 인도 0.0979 4614 295 2182 5132000
5 일본 0.1195 1004 155 1449 309000
6 대한민국 0.1261 2624 234 1595 1130000
7 프랑스 0.1283 406 180 1055 415000
8 영국 0.1382 227 75 693 231000
9 파키스탄 0.1572 2824 114 1387 1640000
10 브라질 0.1695 439 112 679 2100000
11 이탈리아 0.1801 200 184 862 297000
12 이집트 0.1869 4394 245 1062 1230000
13 터키 0.1961 3022 156 1057 775000
14 이란 0.2104 2831 142 543 1015000
15 인도네시아 0.2251 314 296 445 1080000
16 독일 0.2322 266 80 617 199000
17 호주 0.2377 59 43 430 79000
18 이스라엘 0.2621 1900 67 597 646000
19 스페인 0.2901 327 139 503 215000
20 사우디아라비아 0.2966 1062 57 897 350000
21 대만 0.3215 1110 117 741 1681500
22 우크라이나 0.3266 2596 38 318 500000
23 캐나다 0.3601 82 61 380 94500
24 폴란드 0.4179 863 86 452 152500
25 스웨덴 0.4231 121 316 204 38000
26 남아공 0.4276 195 47 225 267000
27 그리스 0.4506 1243 120 633 385500
28 베트남 0.4521 2044 109 218 510000
29 태국 0.4581 637 292 469 456000
30 북한 0.4621 5895 450 946 2000000

 

세계적인 나라들의 30등까지의 군사력 수치를 확인해보면 천조국 미국이 압도적으로 높다. 러시아, 북한을 보면 육군에 대한 군사력이 압도적으로 많다.

 

이번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미래의 전쟁은 육지 위의 육군 군사력으로는 전력을 평가할 수는 없다. 정확히 공군과 해군의 군사력이 더 중요하다. 하지만 공군과 해군 군사력은 과학적 기술력과 막대한 돈이 들어가는 국방 분야이다.

 

즉 가난한 나라는 쉽게 점수를 올릴 수 없는 영역이다. 한국은 휴전 이후 공군 군사력을 지속적으로 증강해왔다. 육군 전력을 기초로 공군 군사력을 올려왔다. 이제 남은 과제는 해군의 군비 증강이다. 군사 강국으로 성장하는 대한민국을 기대해보면서 이번 글을 마친다.

 

 


글 참고 유튜브 영상 : 슬립루팡TV

https://youtu.be/FA7lPt7jaYg

 

글 참고 웹사이트 : Global Firepower - GFP

https://www.globalfirepower.com/countries-listing.ph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