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2023년 9월 3일 15시 대만기상청은 11호 태풍 하이쿠이가 대만 남동 해안에 상륙했다고 발표했다. 대만에 태풍이 상륙하는 것은 2023년 올해 들어 처음이다. 2019년 8월에 11호 태풍 바일루 이후 4년 만에 겪는 대만은 비상이었다. 대만의 모든 항공편이 결항되었고, 대중교통과 학교는 모두 멈췄다. 11호 태풍 하이쿠이는 예상 경로가 너무 어려워 한국으로 올 가능성이 있었던 태풍이었는데 결국 대만으로 갔다. 현재 북서태평양은 태풍과 열대저기압, 저압부 등이 많이 발생한 상태이다. 태풍의 전성기라서 조용할 날이 없는 바다인데 13호 태풍 윈욍 후보가 되는 96W 열대요란이 2023년 9월 6일경에 태풍으로 발달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후 태풍의 경로는 일본으로 향하며 도쿄를 강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윈디닷컴-위성사진-2023년-9월4일-오전-11호태풍-하이쿠이-대만위치-13호태풍-윈욍-후보-96W-위치

 

9호 태풍 사올라는 중국 남부 하이난섬에서 열대저기압으로 되어 베트남에 도착하기전에 소멸할 것으로 보인다. 11호 태풍 하이쿠이는 대만 남부 지방을 관통해서 서쪽 해안으로 나온 상태이며 곧 중국 대륙에 상륙할 것이다. 11호 태풍 하이쿠이는 중국이 제안한 이름인데 자신의 이름을 붙여준 나라로 날아갔다. 12호 태풍 기러기는 태풍의 지위를 잃고, 소멸을 한 상태이다. 

 

줌어스-2023년-9월4일-오전기준-태풍경로-표시-13호태풍-후보-96W-열대요란-확인
2023년 9월 4일 오전 기준 줌어스 태풍 경로 모습

 

줌어스를 통해 본 북서태평양에는 태풍들의 이동 흔적과 열대요란들이 보인다. 96W, 97W, 98W 3개의 열대요란들이 보이는데 여기에서 96W 열대요란이 태풍으로 발달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필리핀 동쪽 바다에는 두터운 구름들이 몰려있다. 그냥 보면 태풍 덩어리처럼 보인다.

 

윈디닷컴-ECMWF-2023년-9월4일-기준-13호태풍-윈욍-일본-이동-모습
2023년 9월 4일 기준 ECMWF 비구름 모델 13호 태풍 윈욍 경로는 일본으로

 

윈디닷컴 ECMWF를 통해서 본 96W 열대요란은 점차 북상하면서 일본 남쪽에 있던 한랭저기압을 밀어낸다. 2023년 9월 6일 수요일에 일본 남쪽 해상으로 접근해서 한국으로 올 가능성은 없어 보인다. 이유는 한반도까지 상공에 편서풍 영역이 내려왔기 때문이다.

 

2023년 9월 7일 목요일 13호 태풍 윈욍은 일본 도쿄 동쪽 해상에 위치한다. ECMWF, GFS 모델 모두 동일하게 예측을 하고 있다. 13호 태풍은 오늘까지로 본 예상으로는 발달한 가능성은 높으나 우리나라로 올 가능성은 없고, 일본 도쿄 방향으로 이동할 것으로 예측된다.

 

 

※ 2023년 9월 5일 오전 글 내용 업데이트

 

2023년-9월5일-오전-발표-한국기상청-13호태풍-윈욍-5일예상경로
2023년 9월 5일 오전 한국기상청 태풍 상세정보

 

13호 태풍 윈욍이 2023년 9월 6일 오전 중에 발생한다고 한국기상청에서 태풍통보문을 통해서 밝혔다. 자세한 5일 예측 경로는 위와 같다. 어제 예상한 이동 경로와 유사하며 일본의 수도 도쿄를 스치듯 지나가는 경로가 된다. 

 


글 참고 유튜브 영상 : 소박사TV

https://youtu.be/L0GjhDlYoXk?si=S--GcwwLw6VIbK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