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2022년 5월 스위스 다보스 포럼에서 발표된 보고서에서는 전 세계가 코로나-19 바이러스 팬데믹 기간에 573명의 억만장자 부자가 새롭게 탄생되었다고 기록이 되었다. 30시간마다 1명 즉 평균적으로 하루에 1명씩 부자가 생겨났다. 세계 각국의 경제와 정치는 겉으로는 인류의 위기를 포장하면서 코로나 팬데믹 기간 동안 세계적 양극화 현상과 부자가 가난한 자의 불평등이 심각해졌다.

 

전세계-억만장자-부자-2668명-재산-1경8000조원
세계의 억만장자 부자는 2668명 그들의 재산은 1경 8000조 원 _출처 : 스브스뉴스

 

 

세계의 위기 속에서 부자들은 여전히 부자들이었다 - 부자들은 더 돈을 많이 벌었다

 

 

바이러스가 세계적으로 창궐했지만 부자들의 재산은 여전히 쌓여갔다. 하루에 1명씩 억만장자(순자산 1조 3900억 원의 부자)들이 탄생했다.

 

 

억만장자 부자들 2668명 재산
코로나 팬데믹 2년 동안
약 5천 300조원 재산 증가함
(한국 1년 예산 604조원 8배)

 

 

2022년 현재 전 세계 억만장자 2668명의 재산들을 합치면 12조 7000억 달러로 한국돈으로 1경 8000조 원이다. 이들 억만장자들의 재산은 약 5천 300조원 정도가 코로나 팬데믹 기간 동안 증가했다. 헐~ 2년 정도의 기간 동안 한국 정부 1년 예산(604조 원)의 8배 이상의 규모로 부자들의 자산이 증가한 것이다.

 

도시가 봉쇄되고, 코로나 백신을 맞고 집에 있는 시간이 늘어날 때 억만장자 부자들은 어마어마한 부를 축적하고 있었던 것이다. 아이러니하게 팬데믹의 영향으로 2022년 올해 약 2억 6300만 명이 약 33시간마다 100만 명 꼴로 극심한 빈곤에 빠진고 예측이 된다고 한다.

 

가난한사람-가난한자-참고사진-도로-맨발-쓰러진-노인-할머니-모습
가난한 사람 참고 사진 _출처 : 스브스뉴스

 

부자들은 30시간마다 1명씩 늘어나고 있는데 가난한 사람은 33시간마다 100만 명씩 늘어나고 있다. 코로나 팬데믹 기간에 악화된 경제적 불평등 즉 부자가 가난한 자들의 양극화 현상으로 4초에 1명씩 매일 최소 2만 1000명이 죽음으로 내몰렸다는 보고서까지 나왔다.

 

이런 부의 양극화 현상은 코로나 팬데믹 이전에도 당연하게 발생하고 있었다. 2019년 기준 전 세계 억만장자 2153명이 46억 명보다 더 많은 재산을 가지고 있었다고 한다. 이미 심각해서 곪았던 경제적 불평등이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지구에 퍼져나가면서 더 심각하게 터져버린 듯하다.

 

이처럼 불평등 지수를 사상 최악으로 몰고 가버린 코로나 팬데믹 기간 중에 세계의 나라들의 정부과 정치인들은 어떤 대응을 했을까?

 

국제구호개발기구-옥스팜-2022년-불평등해소실천지표-보고서-표지-모습
국제구호 개발기구 옥스팜 2022 불평등 해소 실천 지표 보고서 표지 모습

 

2022년 10월 11일 국제구호 개발기구 옥스팜에서 '2022 불평등 해소 실천 지표 보고서 - The Commitment to Reducing Inequality Index 2022'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팬데믹 기간 동안 161개 정부의 지출, 세금 및 노동 정책과 관련 조치를 검토한 보고서인데 첫 문장이 아래와 같다.

 

2022 불평등 해소 실천 지표 보고서
The Commitment to Reducing Inequality Index 2022


Executive Summary

Commitment to reducing inequality (CRI) INDEX 2022:

Most governments doing little to fight more extreme POST -COVID 19 inequality

 

조금 충격적이다. 보고서 첫 장의 전체 내용의 요약에서 "대부분의 정부는 코로나 이후 극심한 불평등과 싸우기 위해 거의 아무것도 하지 않았다"라고 결론을 내어버렸다.

 

저소득 및 중하위 소득 국가의 거의 절반 수준이 코로나 팬데믹 기간 중에 의료 지출을 대폭 줄였다. 보고서의 평가 국가들은 사회 보장 지출을 50% 줄이고, 교육 지출을 70%를 줄였다. 심지어 전체 국가 중의 2/3가 GDP에 맞춰 최저 임금을 인상하지 않았다.

 

세계 각국 정부는 코로나 팬데믹으로 사회적, 경제적 위기를 직면하면서 절망적이다 힘내자고 하면서 세계의 국가 정부와 정치인들은 적극적으로 불평등을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정책을 도입해 변화해야 한다고 큰 소리를 내었다. 하지만 이 보고서의 평가 결과는 완전 다르다.

 

 

코로나 팬데믹 기간 중에
세계 대부분의 국가의
정부와 정치인들은

그냥 평소대로 일했다.!

 

 

대부분의 정부는 그냥 평소대로 일했다고 표현하고 있다. 유례없는 경제적 침체 등 위기를 겪은 상황으로 불가피한 선택이었다는 의견도 있지만 어려운 상황에도 일부 국가에서는 정책적으로 불평등을 제거하기 위해 노력한 국가들도 있었다.

 

네팔은 의료 부분 지출을 50% 이상 늘렸고, 코스타리카는 부자들의 소득세율을 10% 인상했다. 아프리카의 모잠비크는 최저임금을 인상했고, 시에라리온은 아이들이 학습할 수 있도록 라디오로 비대면 교육을 지원했다고 한다.

 

이제 코로나 팩데믹에서 벗어나려고 하는 시기이다. 국제 사회와 세계 각국 정부가 힘을 합쳐서 빈곤과 불평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을 해야 하는데.....

 

지구를 점령하고 있는 인간들은 조용한 날이 없다. 가끔 이런 생각을 해본다. 세계의 권력을 꼭 쥐고 있는 권력자들과 상위 1% 부자들은 지구가 멸망하는 1주일 전에도 권력과 돈을 갈망하는 욕심을 내려놓지 않을 것 같다는 느낌이다.

 

물론 모든 권력자들과 부자들이 욕망에 가득 찬 사람들만 있는 것은 아니겠지만 요즘 세상 돌아가는 꼴을 보면 꼴? 보기가 싫다. 좋은 생각 긍정적인 생각 맑은 생각을 해서 부정적인 생각과 느낌을 제거해야 하는데.....

 

최근 뉴스를 보면 참 밥 맛 떨어진다. 다들 밥은 잘 챙겨 먹고살아갑시다.

 


글 참고 유튜브 영상 : 스브스 뉴스

https://youtu.be/17aoCRf7b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