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중년의 달을품은태양은 케이팝(K-POP) 해외 팬덤과 해외 팬들의 입장에서의 엄청난 점을 몰랐다. 먹고살기 바빠서 그럴 수도 있다. 하지만 알 것을 알아야 해서 Stan, Ult, Bias 등의 해외의 외국인들이 한국의 케이팝을 즐기면서 만들어진 신조어를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본다.

 

케이팝-KPOP-한국노래-한국아이돌-신조어-해외신조어-알아보기-메인사진
K-POP 신조어 알아보기

 

 

 

케이팝(K-POP) 해외 신조어 목차(Index)

 

STAN

ULT

BIAS

 

이외 기타 신조어

Ending Fairy

Digital Monster(디지몬)

 

 

이젠 나 같은 중년과 할아버지, 할머니는 이해하지 못하는 한국의 가요. 즉 Kpop(이하 케이팝)은 한국의 팬들보다 글로벌 세계적인 팬이 훨씬 많은 케이팝 팬덤을 형성하고, 전 세계를 인기몰이를 하고 있다.

 

예를 들어 유명한 케이팝 아이돌 그룹의 뮤직비디오 유튜브 영상에는 외국어로 된 댓글이 영어로 많이 달린다. 그런데 영어로 된 댓글 중에 알 수 없는 단어들이 많이 등장한다고 한다. 위의 리스트에 나온 단어들이 대표적인데 Stan, Ult, Bias, Ending Fairy, Digital Monster 등이 있다.

 

이런 단어들은 글로번 케이팝 팬들 사이에서 생겨난 신조어라고 한다. 케이팝을 덕질하는 한국인들은 이 해외 신조어 팬덤 단어들을 잘 알지 못한다고 한다.

 

 

해외 케이팝 신조어 - 스탠 Stan

 

구글번역기-Stan-스탠-번역-결과-화면
구글 번역기에 번역된 Stan 결과

 

해외에서 '케이팝 스탠(K-Pop Stan)'이라고 말을 하면 어떻게 해석이 될까? 그냥 케이팝 스탠이라고 결과가 나온다. 한국의 파파고 등의 다른 번역기를 돌려도 결과는 동일하다.

 

Stan(스탠)은 그냥 '팬'이라고 한다. 정확하게는 '광팬'이라고 해야 하나? 예를 들어 블랙핑크의 팬이며 엄청 좋아한다라는 것을 말하면 '팬질 - Stanning' 블랙핑크를 스태닝하고 있다고 말한다고 한다.

 

스탠이라는 어원은 가수 에미넴 노래에서 실마리가 나온다. 에미넴의 노래에서 'Stan'이라는 노래의 제목이 있다. 이런 Stan은 '스토커'와 '팬'의 합성어가 된다.

 

 

해외 케이팝 신조어 - Ult

 

구글번역기-Ult-얼트-번역-결과-화면
구글 번역기에 번역된 Ult 결과

 

이제는 'Ult'이다. 뭔가 약자일 것 같고, 울트라?, 킹왕짱 울트라?, 엄청나게 좋다 라는 뜻일 것 같기도 한 케이팝 해외 신조어 얼트(Ult)는 해외 팬들 입장에서 본인들이 가장 좋아하는 케이팝 그룹을 말할 때 사용한다고 한다. 예를 들어 '나의 얼트는 블랙핑크 - Ult BlackPink'라고 말하고, 표기한다.

 

궁극의 그룹, 본진 그룹(Ultimate Group)을 줄여서 만들어진 해외 팬들의 케이팝 신조어였다.

 

본진이라는 영어로 원래 지휘 본부가 위치한 군대 군영을 뜻하는 군사 용어이다. 온라인 SNS 속어로 사용되면서 가장 좋아하는 아이돌 그룹을 뜻하게 변화하게 되었다.

 

 

해외 케이팝 신조어 - Bias

 

구글번역기-Bias-바이어스-바이아스-번역-결과-화면
구글 번역기에 번역된 Bias 결과

 

Bias 바이어스 혹은 바이아스라는 해외 케이팝 신조어는 구글 번역기로 나온 결과는 편견이라는 단어가 자동으로 번역이 된다. 이런 단어가 없다는 것으로 봐야 한다.

 

Bias(바이아스)는 한국 케이팝 팬들 입장에서는 '최애'라는 줄임말이다. 결국 케이팝 그룹에서 가장 좋아하는 그룹 멤버를 뜻한다고 한다. 또 여기에서 블랙핑크를 예를 들면 나는 블랙핑크의 멤버 중에 '지수'를 가장 좋아한다라고 할 때 Bias를 사용한다.

 

 Bias는 명사로 편견이며, 동사로 한쪽으로 치우쳐 있다의 단어인데 온라인 SNS 속어로 사용되면서 신조어가 되어 '최애'가 되었다. 분명 영어로 'Most Favorite - 모스트 페이보릿'이라는 말이 있지만 가장 좋아하는 것보다 더 막강하게 슈퍼 울트라 더 강한 정도의 선호, 몰입, 집착을 나타낸다고 한다.

 

 

해외 케이팝 신조어 기타 - Ending Fairy  & Digital Monster(디지몬)

 

이외 기타적으로 디지몬이라고 하는 'Digital Monster'라는 신조어는 케이팝 그룹의 음반 판매량이 치솟는 아이돌을 뜻한다.

 

마지막으로 '엔딩 패어리 - Ending Fairy''라고 하는 신조어는 케이팝 그룹의 라이브 무대에서 노래의 마지막 부분에서 화면에 잡히는 그룹 멤버인데 한국 케이팝 그룹의 무대에서 한국 특유의 클로징 화면에 그룹의 대외 얼굴을 맞는 멤버들의 얼굴을 확대한 뒤에 해당 멤버가 특정 포즈를 하거나 귀엽고, 강인한 표정을 짓는다. 이런 모습을 한 그룹의 멤버를 엔딩 패어리라고 부른다고 한다.

 


 

스브스 뉴스에서 인터뷰를 한 성균관대 영어영문학과 이한정 교수는 이런 해외 케이팝 팬들의 신조어들은 자발적인 선호를 통한 즐거움에 기반했기 때문에 적극적인 행위성 유희성을 가지는 특징을 가진다. 그래서 이런 케이팝 아이돌 팬들의 문화적인 활동의 산물이 되었다고 했다.

 

내가 살아오면서 덕질이라고 하는 것을 솔직히 해본 적은 없다. 너무 빈틈없이 숨 가쁘게 살아온 것일까? 지금부터 덕질을 하라고 하면 또 솔직히 못하겠다.

 

지금 이 순간 덕질이라고 하면 그냥 가족을 사랑하는 것이라고 간단하게 말하고 싶다. 내가 기쁠 때나 아플 때나 내 아내와 아이들.. 즉 가족들은 덕질을 하고 있으면 결과가 빠르게 나타난다. 하지만 나의 1호 딸, 2호 아들도 덕질을 하는 순간이 있을 것이다. 내 아이들이 덕질을 할 때 적어도 어떤 단어인지? 누구를 관심을 가지고 있는지 작은 관심을 가지는 노력하는 부모가 되고 싶다.

 


글 참고 유튜브 영상 : 스브스뉴스

https://youtu.be/sRd89DgDCVQ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