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글로벌하게 인구가 최강인 중국에는 항상 우리가 상상하는 이상의 황당한 사건들이 자주 발생한다. 그중에서 중국의 위대한 기술과 아이템이라며 자랑하다가 다급하게 삭제한 이슈 3가지를 소개하려고 한다. 3가지 중 2개는 물건이다. 지진에도 끄떡없는 중국이 건설한 다리와 미국에서 인기 있었던 중국산 타이어. 번외적으로 전 세계를 충격에 빠트린 중국산 인공지능(AI)이다.
세계가 놀란 중국이 건설한 터키의 다리 - 미국에서 품질 좋아 인기였던 중국 타이어
■ 터키(튀르키예)에 지어진 중국산 다리가 지진에도 무너지지 않고 안전했다
중국 정부가 공식적으로 인정한 인물인 '장메이팡 - Zhang Meifang'은 2023년 2월 11일 터키(튀르키예)에 지어진 중국산 다리가 대지진에도 무너지지 않고 안전했다고 자랑하는 위 사진의 SnS 글을 올렸다. 당시 영상 조회수는 31만 회가 넘으면서 엄청난 이슈가 되었다.
프랑스 주재 중국 대사관에서도 중국의 기술력이 좋다고 위 사진처럼 비슷한 유형의 글을 공식적으로 올렸다. 그러나 중국이 언급한 중국산 다리는 지진이 발생한 장소에서 1000km 정도 매우 멀리 떨어진 곳으로 지진과는 아무 상관이 없는 다리였다.
문제는 이슈가 되버린 중국산 다리는 한국 기술로 만든 다리였다는 것이다. 한국 건설기업인 DL이앤씨와 SK에코플랜트의 기술력으로 건설된 차나칼레대교(차나칼레 1915 대)는 건국 100주년인 2023년을 기념하기 위해 2023년 10월까지 건설이 되는 다리였는데 기간을 무려 1년 7개월 앞당기며 빠르게 완공한 한국 기술의 한국산 다리였다.
한국 네티즌들이 위 사실을 지적하고 국내 언론들이 빠르게 보도하자 중국이 올린 글들과 게시글들은 빠르게 삭제가 되어버렸다. 중국이 만든 것이 그렇게 튼튼할까?라는 의문점이 모두 풀리고 빤스런한 사례가 되었다.
■ 미국에서 품질 좋고 가격 좋아 인기 폭발했던 중국산 타이어
2014년 미국에서 중국산 타이어가 인기가 폭발적으로 늘었었다. 중국은 미국에 4603만 본의 승용차용 타이어를 수출한다. 수출한 중국산 타이어는 미국에서 엄청난 인기를 몰고 다녔다. 이유는 중국산 타이어가 이외로 튼튼하고 오래가고, 가격까지 저렴하다는 소문이 퍼졌기 때문이다.
2009년부터 미국은 중국산 승용차 타이어에 징벌적 과세를 부과했는데 2012년 9월부터 해당 규제를 풀었다. 규제가 풀리자 타이밍 맞게 수출된 중국산 타이어는 가파른 성장세를 기록한다. 당시 경기 상승세가 합쳐져서 미국의 중국산 타이어 수입량이 사상 최대인 1억 4637만 본을 기록한다.
하지만 이렇게 인기몰이를 했던 중국산 타이어들은 알고 보니 한국산 타이어들이었다. 중국에 생산 거점을 둔 한국 타이어 회사들이 수출 증가로 수혜를 보고 있었던 것이었다. 중국산 타이어의 10% 이상은 한국타이어와 금호타이어 제품들이었다. 당시 이런 소식을 접한 네티즌들은 중국산 타이어 그러면 그렇지라는 반응들이 많았다.
전 세계를 충격에 빠트린 중국산 인공지능(AI) - 챗위안
미국 OpenAI가 만든 'ChatGPT'가 출시 40일 만에 1일 사용자 1천만 명을 돌파하면서 이제는 유료 서비스도 개시를 한 상태이다. 이에 구글에서는 Red 경계 레벨을 내부적으로 발령하고 빠르게 비슷한 서비스인 버드를 출시했으나 시연 도중에 틀린 대답을 하는 해프닝으로 당혹스러운 결과가 나왔다.
2023.02.04 - ChatGPT 달을품은태양도 경험해보기 - 주제 삼성전자
달을품은태양도 ChatGPT 서비스를 사용해봤다. 위 글처럼 삼성전자에 대해서 질문하고 대답에 대해서 글을 작성했었다. 참 신세계였다.
이런 상황에 중국 또한 강한 위기감을 느끼고, 빠르게 인공지능 AI 챗봇을 공개했다. 중국산 인공지능 챗봇의 이름은 '챗위안'으로 중국 기술력이 모두 모인 신기술이라고 강한 자부심을 드러내었다.
중국에서 밝힌 챗위안은 법률부터 건강까지 다양한 분야에 전문적인 대화 중에 물음에 대한 답변을 받을 수 있으며 글 창작 작업도 가능하다고 밝혔다. 그리고 국제 이슈, 경제 문제 등과 관련해서 중국 정부와 대립되는 답변을 해서 네티즌들의 뜨거운 관심을 받았다.
다양한 네티즌들의 질문에 챗위안의 대답 사례 중에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전쟁을 러시아의 침략 전쟁이라고 대답을 했다. 현재 중국 정부는 해당 전쟁을 침략 전쟁이 아니라는 공식 입장을 고수하고 있는 상태이다.
그리고 중국 경제 문제에 대한 대답에는 "투자 부족, 부동산 버블, 환경오염, 기업 운영 효율성 감소" 등을 지적하면서 중국 경제의 전망을 낙관할 여지가 없다."는 식의 답변을 했다.
이에 대만언론은 "중국 이용자들은 챗위안과의 대화 내용을 캡처한 화면을 SnS에 올리고 있다."라고 하면서 알맞은 대답을 하는 챗위안의 대답이 놀랍지는 않지만 중국 정부의 검열이 공산당 입장에 대치되는 대담한 인공지능의 답변을 미리 제한하지 않은 기술력이 놀랍다고 전했다.
결국 챗위안은 공개된 4일 만에 앱스토어에서 관련 규정 위반을 이유로 서비스가 위 사진처럼 중단이 되어버렸다. 너무나 정직하고 눈치가 없었던 중국산 AI는 결국 중국 정부에 의해 삭제가 되었다.
글 참고 유튜브 영상 : Mr.셜록
글 참고 뉴스 기사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