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2022년 8월 8일 밤에 서울 강남역 주변이 집중 호우와 폭우로 온통 물난리가 나서 물에 잠겨버렸다. 지나가는 차량이 완전히 침수가 되는 수준의 높은 물이 도로를 덮어서 도로가 하천이 되어버린 상황에 모든 건물이 침수 피해를 받았다. 이런 홍수 피해 상황에서 나홀로 살아남은 노아의방주같은 건물이 이슈가 되었다. 자세히 살펴보니 2011년에도 동일하게 집중호우가 발생했을 때에도 청남빌딩은 당시 멀쩡했다. 10년 전과 지금의 똑같은 상황이 발생했어도 주변 건물들이 설치, 시공을 비용이 들어간다고 해서 못한 아이템은 "방수문", "차수문", "차수판"이라는 것이다.
위 사진을 보면 2011년 7월 30일에 홍수가 발생했을 때의 모습과 2022년 8월 8일의 최근 홍수 사진을 보면 비교가 확실히 된다. 같은 폭우로 인한 물난리 중에도 주변 건물들은 모두 침수 피해를 겪었을 것이이다. 과거와 현재 모두 마찬가지 일 것이다.
주변 건물 모두 침수 피해 중에 홀로 살아남은 청남빌딩의 위력은 차수문(방수문)
서울 강남에 자연 재해급 폭우가 자주 발생하지 않으니 큰 홍수 피해를 모두가 겪었을 때에 2011년 약 10년 전에 방수건물이라고 이슈가 되었던 청남빌딩에 설치가 된 접이식 방수문의 효과를 입증해서 이슈가 되었을 것이다.
하지만 주변 건물주들은 언제 발생할 지도 모르는 침수 피해를 막기 위해서 큰 비용을 들어가면서 방수문, 차수문, 차수판을 설치 및 시공을 할 필요가 없었다고 한다. 당시 청남빌딩의 건물주는 무슨 생각을 하고 돈을 들여서 방수문(차수문)을 설치 했을까? 세월이 흘러서 10년이 지난 후에도 결국 자연 재해는 발생했고, 또다시 이슈가되어 노아의방주라는 화제가 되었다.
심지어 10년 전의 차수문에서 업그레이드가 되어서 보강이 되어진 모습이 더욱 눈길을 가게 만든다. 결국 청남빌딩 건물주는 안전에 관련되어서 상당히 신경을 쓰는 사람인 것 같다.(개인적) 2011년의 사건 이후로 서울 서초구청에서는 국지성 폭우에 따른 건축물 침수 대비를 위한 차수판 설치 의무화를 추진해서 법령을 만들었다고 한다. 지하 주차장이 있는 건물에는 차수판을 설치를 의무화해서 건축 필수 조건이 된 것이다.
SNS 누리꾼들은 이정도의 건물은 21세기 노아의방주 방수빌딩으로 인정해야한다. 라는 분위기를 가지면서 엄지척을 했다고 한다. 이런 차수문을 건물에 설치/시공하는 비용은 약 3천만원~4천만원이 나온다고 한다.
강남역 일대 건물 관리인들의 인터뷰 내용을 보면 차수판 설치 의무화로 설치가 된 건물에서도 결국 침수 피해를 피해가지 못했다. 이런 건물들은 청남빌딩의 거대한 차수문이 아니고 칸막이 같은 간단한 차수판을 설치한 건물들이 대부분이었다. 그냥 눈으로 봐서도 비용차이가 많이 날 것으로 보였다.
매번 자연재해나 사건, 사고가 나서 정치인이나 높은 관직에 있는 사람들이 현장에 와서 심심한 위로와 재난 복구와 예방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만 하는 것 보다 청남빌딩 건물주 처럼 묵묵히 말 없이 안전과 재산 그리고 생명을 지키기 위해서 노력하는 사람이 더욱 늘어났으면 좋겠다.
이제 이런 강남의 노아의방주 건물이라는 꼬리표를 달게 한 방수문, 차수문 전문 시공업체인 성산엔지니어링에 대해서 조금 알아보자.
방수문 차수문 차수판 전문 시공 업체 - 성산엔지니어링 알아보기
서울 강남역의 청남빌딩의 차수문을 제작 설치한 성산엔지니어링은 1990년에 설립된 비상장 일반 법인기업이다. 금속구조물, 창호공사, 기계설비공사의 주생산품으로 서울 서초구 방배3동 983-41번지 성산빌딩 5층에 사업장이 있다.
홈페이지에서 주요 제품 소개 항목을 보면 Up-Down 도어, 특수 도어, 피난연락갱문, 지붕모니터환기설비, 전동창호시스템 등을 생산, 제작하는 기업으로 확인된다.
위 사진처럼 건물 입구 문 쪽에 성인 무릎 수준의 높이의 물을 막아주는 차수판이나 기밀문, 방호문, 기밀방음문 등의 다양한 특수 도어를 제작 설치를 하는 회사로 확인된다.
이번 물난리로 다양한 분야의 소식들이 좋고, 나쁘게 들려온다. 달을품은태양 블로그에서는 이번 서울의 침수, 홍수 피해에 따른 글을 많이 담고 싶지는 않지만 앞선 제니시스좌 혹은 이번 방수빌딩, 방수문의 이슈거리 수준으로 글을 마무리 해본다.
글 참고 유튜브 영상 : SBS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