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국토의 90%가 사막 지형인 북아프리카 '리비아'에서 수천 명의 희생자가 발생한 엄청난 대홍수가 발생했다. 2023년 9월 13일 수요일 현재 대홍수로 인한 사망자는 5300명으로 추정되며 약 1만 명이 행방불명이라고 한다. 특히 이번 대홍수로 피해가 큰 지역은 리비아 북동부 연안도시 '데르나'였다. 2023년 9월 10일 일요일 24시간 동안 내린 강우량이 414mm으로 9월 월강우량이 5mm 이하, 연간 강우량이 200mm에 불과한 리비아에서 이번에 큰비를 내린 폭풍 다니엘(메디케인 다니엘)의 위력을 실감할 수 있다. 리비아 대홍수로 2개의 댐이 붕괴되면서 급격하게 방출된 대량의 물이 도시 전체를 쓸어버리는 장면도 포착되었다. 

 

아프리카-북아프리카-리비아-홍수-대홍수-데르나-도시-파괴모습
아프리카 리비아 대홍수 이후 데르나시 도시 파괴 모습 _출처 : AP통신

 

 

리비아 대홍수의 원인 - 메디케인(Medicane) 다니엘과 댐 붕괴

 

아프리카-북아프리카-리비아-홍수-대홍수-리비아-지도-위치-설명
리비아 위치 지도 _출처 : Windy.com

 

리비아 대홍수의 원인은 '메디케인 Medicane'이라고 부르는 지중해의 폭풍이었다. 지중해(Mediterranean) + 허리케인(Hurricanme)의 합성어이다. 지난주 그리스와 튀르키예, 불가리아에 큰 비를 내려서 27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폭풍 다니엘이 리비아를 덮쳤다.

 

지중해는 고위도라서 허리케인이나 태풍 같은 열대저기압은 발생하지 않는다. 하지만 열대저기압과 온대저기압의 특징을 가진 하이브리드 저기압 '메디케인'이 발생된다. 메디케인은 비가 적은 지중해 연안에 폭풍과 함께 폭우를 가져오고, 과거에도 큰 재해를 유발하기도 했다. 최근 같은 지중해 연안에 있는 모로코는 규모 6.8의 대지진이 발생되어 2800여 명의 사망자가 발생하고 있는 상황에 지금 북아프리카와 지중해 연안에서는 자연재해(지진, 대홍수)의 대재앙의 먹구름이 덮였다.

 

아프리카-북아프리카-리비아-홍수-대홍수-불어난-강물-흙탕물-메마른-다리-덮치는-모습
홍수로 불어난 흙탕물이 메마른 다리를 덮치는 모습

 

데르나 외곽에는 농업용으로 사용되던 댐이 두 곳이 있었다. 하지만 이 댐들은 오랜 시간 동안 보수나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고, 구조적인 결함이 있었다. 지난해 학술지에 발표된 보고서에서는 "큰 홍수가 발생하면 댐 2개 중 하나가 붕괴해 데르나 주민들의 안전에 위협이 될 수 있다"라고 경고했었다고 한다.

 

그러나 리비아에서는 오랜 내분과 부패, 외세 간섭으로 인해 도로나 공공 서비스에 대한 투자가 줄어들었고, 민간 건물에 대한 규제도 거의 없었다. 결국 예견된 재앙이 현실이 되었다. 폭풍우로 인해 댐에서 쏟아져 나온 엄청난 양의 물이 데르나를 덮치면서 순식간에 사망자와 실종자가 발생했다.

 

 

리비아 대홍수의 피해와 대응

 

사망자와 실종자의 수와 분포

 

아프리카-북아프리카-리비아-홍수-대홍수-피해-참고사진
리비아 대홍수 참고사진(본문 내용과 관련 없음)

 

리비아 당국은 "데르나 지역 전체가 물에 휩쓸렸으며, 많은 시신이 바다로 떠내려갔다"면서 "건물 잔해에 깔린 시신도 상당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라고 전했다. 리비아 동부 보건부는 13일 기준으로 시신 1500구 이상이 수습됐으며 이 가운데 절반이 매장됐다고 밝혔다. 국제 적십자사와 적신월사연맹 (IFRC)에 따르면 실종자는 최소 1만 명이 넘는다고 추정된다. 실종자들은 대부분 물에 떠내려가거나 흙탕물에 집어삼킨 집 안에서 구조를 기다리고 있다. SNS에는 흙탕물이 집어삼킨 집에서 빠져나오지 못해 비명을 지르며 구조를 요청하는 주민들의 모습 등 아비규환의 현장을 담은 영상이 속속 올라오고 있다.

 

 

이재민과 인프라 파괴의 심각성

 

아프리카-북아프리카-리비아-홍수-대홍수-플래닛랩스-공개-위성사진-왼쪽-2023년9월2일촬영사진-오른쪽-2023년9월12일촬영사진
왼쪽은 2023년 9월 2일에 촬영된 리비아 데르나의 위성사진, 오른쪽은 홍수가 발생한 이후인 9월 12일에 촬영된 위성사진 _출처 : 플래닛랩스

 

IFRC에 따르면 이재민도 4만 명이 넘는 상황이다. 홍수로 인해 강처럼 변해버린 거리에는 차들이 맥없이 둥둥 떠내려가기도 했다. 민간위성업체 플래닛랩스가 공개한 위성사진은 대재앙에 가까운 홍수로 뒤덮인 피해 지역의 모습을 더욱 생생하게 볼 수 있다. 댐이 무너지기 전에 촬영된 위성사진에서는 물을 거의 볼 수 없는 건조한 마을의 모습이지만, 홍수가 발생한 뒤 12일에 촬영된 사진에서는 거대한 바다와 같은 물이 대량으로 흘러들어와 마을을 뒤덮은 모습을 볼 수 있다. 홍수로 인해 전기와 통신 등도 끊긴 상태이며, 의료와 식수 공급도 어려운 상황이다.

 


글 참고 유튜브 영상 : 소박사TV

https://youtu.be/EU0XTJAEpFw?si=z9xJOE4qoABZDU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