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결국 위태하던 중국 부동산의 뇌관 같았던 폭탄 기업 헝다 그룹이 파산 신청을 했다. 중국 부동산 개발업체 헝다(에버그란데)가 미국 법원에서 파산보호 신청을 했다. 2023년 8월 17일 미국 뉴욕 법원에 파산법 15조에 따른 파산보호 신청서가 접수되었다. 미국 내부 자산을 가진 외국 기업이 회생을 추진할 때 미국 법원이 채무자 자산 보호를 위해 압류하지 못하는 조치가 취해졌다.

 

중국-부동산-경제-몰락-사실일까-헝다-파산-보호-신청-참고사진-01-불타는-중국건물-모습
중국 경제시스템의 뇌관 부동산 버블 폭발할 것일까? _ 출처 : Bing

 

 

 

 

중국 헝다의 파산보호 신청 배경

 

 

중국 경제 위기의 시작점이 될까 - 헝다그룹(헝따그룹 China Evergrande) 파산 구제 위기설

 

중국 경제 위기의 시작점이 될까 - 헝다그룹(헝따그룹 China Evergrande) 파산 구제 위기설

중국발 리먼브라더스라고 불리는 중국의 헝다 사태, 즉 헝다그룹 파산 위기설이 중국뿐 아니라 세계적으로 초미의 관심사로 대두되고 있다. 중국 시진핑 정권 입장에서도 발등에 불이 떨어진

ksjkhy4539.tistory.com

 

작년 2021년 9월에 포스팅한 중국 경제 위기 시작점이 될까?라는 제목의 헝다그룹의 파산 구제 위기설에 대한 글이다. 헝다는 미국 뉴욕 맨하탄 파산법원에 파산법 15조(챕터15)에 따른 파산보호 신청서를 접수했다. 챕터15는 구조조정을 진행하는 비 미국계 기업들이 미국 내 자산을 채권자들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조치이다.

 

헝다 산하 계열사인 톈지홀딩스와 징청유한공사(시너리 저니)도 함께 파산보호를 신청했다. 헝다는 현재 홍콩, 케이맨 제도 및 영국령 버진아일랜드에서 구조조정이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이에 채권자들이 이달 중 홍콩과 버진아일랜드에서 구조조정 승인 여부를 놓고 표결을 진행할 예정인 가운데 9월 초께 구조조정 승인이 가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챕터15 청문회 일정은 내달 20일로 신청했다. 헝다는 지난 수개월 간 해외 부채 구조조정 계획을 마무리하기 위해 노력해 왔는데, 그 최종 절차로 챕터15가 필요한 경우가 있다고 블룸버그는 짚었다. 앞서 헝다는 지난달 2021년과 2022년 합계 실적이 총 810억 달러(약 108조 원) 손실에 달한다고 밝혀 구조조정 계획의 가능성에 대해 의문을 표해왔다.

 

 

 

중국 헝다의 디폴트와 중국 부동산 위기는 가속화될까?

 

 

헝다는 2021년 12월 디폴트(채무 불이행)를 맞은 가운데 현재 총 3300억 달러 가량의 부채를 안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헝다의 디폴트는 이후 여러 중국 부동산 개발업체들의 디폴트로 이어졌고, 이는 곧 현재까지 계속되는 중국 부동산 위기의 시발점이 됐다.

 

중국-부동산-경제-몰락-사실일까-헝다-파산-보호-신청-참고사진-02-빌딩-일반-주택-모습
중국 부동산 경제 어떻게 될까? _ 출처 : Bing

 

중국 부동산 위기는 지난 7일 중국 최대 민간 부동산 개발업체 비구이위안(컨트리가든)이 2종의 달러채 이자를 미지급하면서 재점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비구이위안은 8월 11일까지 5.45% 쿠폰율의 2022년 만기 달러채 5억 달러와 6.25% 쿠폰율의 2024년 만기 달러채 3억 달러의 이자를 지급해야 했으나, 이를 놓치면서 디폴트 위기에 직면했다.

 

중국 부동산 업계의 디폴트는 중국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중국 부동산 업계는 중국 GDP의 약 30%를 차지하고 있으며, 중국 금융 시스템과도 밀접한 연관이 있다. 따라서 부동산 업체들의 디폴트가 연쇄적으로 발생하면, 중국 경제는 심각한 충격을 받을 수 있으며, 이는 세계 경제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중국 부동산 위기의 진원지 헝다가 미국 법원에 파산보호를 신청했다는 소식은 중국 부동산 업계의 위기가 여전히 심각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중국-부동산-경제-몰락-사실일까-헝다-파산-보호-신청-참고사진-01
중국 부동산 경제의 몰락? _출처 : Bing

 

헝다는 약 3300억 달러(약 440조 원)의 부채를 가지고 있는데 2021년과 2022년 합계를 보면 실적이 총 810억 달러(약 108조 원) 손실을 하고 있다고 한다. 헝다는 채무 구조조정을 통해 회생할 수 있을지 아직 불투명하며, 헝다와 유사한 상황에 처한 다른 부동산 업체들도 존재한다. 중국 정부는 부동산 업계의 디폴트를 막기 위해 다양한 조치를 취하고 있지만, 그 효과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천조국 미국이 중국 경제 시스템이 무너지는 것을 무시할 수는 없는 상황인데, 과연 어떤 스탠스를 가지고 이번 헝다의 파산보호 신청을 바라보고 있을지? 매우 궁금해진다. 과정과 결과는 높으신 분들은 알고 있겠지?

 

 

 


글 내용 참조 기사 등 출처 정보 :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3081808540003203